FAQ
사용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 리스트 입니다.
연계시스템의 부하로 인해 접속이 지연되는 상황입니다. 빠른 시일 안에 개선하여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시간 차를 두고 접속하시기 바라며, 그때에도 동일 오류 발생한다면 저희 고객센터1666-7598(이용시간: 평일 9:00~18:00)로 다시 연락 주시면 조치 진행 중인 사항을 안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국민의 건강증진과 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계시스템의 부하로 인해 접속이 지연되는 상황입니다. 빠른 시일 안에 개선하여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시간 차를 두고 접속하시기 바라며, 그때에도 동일 오류 발생한다면 저희 고객센터1666-7598(이용시간: 평일 9:00~18:00)로 다시 연락 주시면 조치 진행 중인 사항을 안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국민의 건강증진과 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존 디지털 원패스 단일 인증 방법에서 국민의 의견(접속 방법 다양화)을 수렴하여, SNS 인증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카카오 혹은 네이버 계정 · 앱 · 인증서가 있는 경우 SNS 인증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성인과 미성년자 구분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단, 만 14세 미만의 경우 인증수단 중 아이핀으로 부모 동의 절차를 거쳐 발급 가능합니다.
디지털원패스 이용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디지털원패스 회원가입]
1. 별도 디지털원패스 앱 설치 없이 나의건강관리 앱에서 SMS인증 가입 혹은 원패스 앱 설치 후 지문·안면 인식 등 이용 혹은 디지털원패스 홈페이지(https://www.onepass.go.kr/)에서 간편하게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 디지털원패스 회원가입 방법은 다양합니다.
휴대폰인증, 카드인증(본인 명의 카드), 아이핀(I-PIN)
[나의건강기록 앱 로그인]
1. 나의건강기록 앱을 실행하여 디지털원패스 인증 후 간편한 절차를 거쳐 로그인을 완료합니다.
※ 디지털원패스 로그인 방법을 간편한 순서대로 안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디지털원패스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SMS(문자)
② 디지털원패스 앱을 통한 지문·홍채 인증
③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인증
디지털원패스 앱의 오류사항 문의는 02-374-0980~1로 연락 바랍니다.
나의건강기록 앱의 별도 탈퇴 절차는 없습니다.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마이페이지>연동?해지"가 가능하며, 추후 재가입 시 보류 기간 없이?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투약이력(최근 1년)
○ 국민건강보험공단
- 진료이력(14개월 전 ~ 2개월 전 동안의 데이터)
- 건강검진(최근 10년, 영유아 건강검진 정보는
최근 5년)
○ 질병관리청
- 국가필수예방접종이력(전체기간 조회)
단, 질병관리청으로 전산 등록된 백신명 정보에 한하여 제공됩니다.
단, 의료기관의 청구 시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유하지 않는 데이터인 비급여 항목과 현 자격이 의료급여인 경우 나의건강관리 앱에서 조회 불가합니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약관에 동의하셨는지 확인이?필요합니다.?동의하지 않은 경우 기록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의?정보는 `마이페이지>데이터활용동의>개인정보 제공 기관의 정보 활용 동의`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본 정보는 병ㆍ·의원·약국에서 청구한 진료비/약제비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므로 아직 청구되지 않은 최근 진료 내역,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점검기관이 아닌 의료기관, 처방 조제 후 약국 등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국민건강보험의 급여 항목이 아닐 경우(비급여)는 조회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644-2000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으로 문의 바랍니다.
대리처방을 받은 경우일 수 있습니다.
본인 혹은 대리인의 내방 여부를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으로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투약이력에서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약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이 외 약 정보는 고객센터에서 안내가 불가합니다.
약국명 확인 후 지도에서 검색하셔서 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방문하신 진료 지역은 대체로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용자께서 기억해 주셔야 합니다.
약제명, 성분명, 투약량, 1일 투여 횟수, 총 투약 일수와 같은 세부사항은 앱에서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진하신 기관에서 청구가 완료되어야 조회 가능하며, 검진일로부터 청구 완료까지 통상 30일 정도 소요됩니다.
정확한 검진 일자가 언제이십니까?
아직 30일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자료가 업데이트되기까지 조금만 더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 정A(정상A): 건강이 양호
○ 정B(정상B): 건강에 이상 없으나 자기 관리 및 예방조치 필요
○ 주의(건강주의): 1차 검진 결과 질환으로 발전할 우려 있어 추적 검사 필요
○ 의심(질환의심): 질환 발전 가능성이 있어 추적검사나 전문 의료기관을 통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 필요
○ 고·당(고혈압, 당뇨병 질환의심): 고혈압, 당뇨 의심되어 치료 및 관리 필요
○ 유질(유질환):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폐결핵 판정받고 현재 약물 치료 중
○ 일반(일반질병): 일반 질병 소견을 보여 사후 관리 필요
현재 질병관리청에 `전산 등록된 국가필수예방접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하지 않는 기록은 조회 불가합니다.(국가필수예방접종 항목 :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11)
접종기록 전산등록 의료기관이 아닌 일반 병·의원에서의 접종 기록은 접종 기관의 접종 확인서 또는 접종 증명서를 근거로 하여 가까운 보건소에서 전산등록 서비스를 해드리고 있으니 관할 보건소로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1339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 최초 동기화 시 연동 실행일의 자정 기준 데이터부터 가져오게 됩니다.
예를들어 금일 처음으로 연동버튼을 눌렀을 경우 금일 자정 데이터부터 자료를 보여주며, 만약 한달 뒤 연동버튼을 다시 눌렀을 경우 금일부터 한달 간의 데이터가 보여집니다(최초 연동일 이전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습니다).
삼성헬스 앱을 한 번도 실행하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안내 문구입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실 경우 삼성헬스 앱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가지고 계신 모바일 기기에서 삼성헬스(Samsung Health) 앱을 실행하여 사용 동의를 하신 후 나의건강기록 앱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삼성헬스 앱을 한 번도 실행하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안내 문구입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실 경우 삼성헬스 앱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가지고 계신 모바일 기기에서 삼성헬스(Samsung Health) 앱을 실행하여 사용 동의를 하신 후 나의건강기록 앱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주목적은 정보 조회입니다.
제출요청기관(병·의원 등)마다 인정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출요청기관에 문의 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민간보험사 등 타기관 자료 제출 시 개인의 권익침해 및 불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을 기하시길 바랍니다. 단, 법정 의무기록으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다운로드 이력: 중복이 없는 누적 정보 리스트입니다. 각 메뉴에서 선택하여 다운받은 모든 의료정보를 앱의 한 화면에서 확인하는 곳입니다. 추가로 하단의 [파일통합] 버튼을 통해 해당 화면에서 원하는 항목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파일생성 이력보기(우측 상단 세 줄 아이콘): 각 메뉴에서 다운로드한 횟수만큼 생성된 PDF 파일 리스트입니다. 1회 다운로드 시 선택한 항목들의 합본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결하지 못하셨나요?
고객센터로 문의주세요.
1666-7598